QUICK MENU

오늘 본 상품

Go Top

기업데이터연구소
"데이터를 통해 미래 트렌드를 읽는다" Biz Data, New Value & Lead Future

대기업, 작년 부채 5.4% 증가…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육박
보도자료 기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50여개의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국내외 언론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작년 부채 5.4% 증가…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육박
작년 500대 기업 부채총액 전년비 79조 증가한 1525조…이 중 절반 이상이 올해 만기 도래
유통업 부채비율 13.9%p 늘어 증가폭 상위…자동차·부품 12.8%p↑, 석유화학 8.5%p↑ 순
올해 갚아야 할 유동부채비율, 조선·기계·설비업종 135.1%로 ‘최고’…운송·상사도 100% 이상
CEO스코어, 500대 기업 2020년 말 기준 부채 및 유동부채 전수조사
  • 작성일2021-04-21

국내 대기업의 지난해 부채 규모가 1년 전보다 80조원 가까이 늘어나며 1525조원을 기록했다. 작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기업들이 자금조달로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대기업의 부채총액이 1500조원을 돌파한 가운데 연내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가 내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비유동부채보다 더 큰 폭 확대되며 부채의 질이 악화했다. 지난해 대기업의 유동부채는 2019년보다 48조원 늘어 780조원에 육박하며 전체 부채액의 51.1%를 차지했다.

업종별로 조선·기계·설비의 유동부채비율이 135.1%로 가장 높았고 운송과 상사업종도 100%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 유동부채비율 상승폭이 가장 큰 업종은 유통으로, 1년 새 8.9%포인트 높아졌으며 제약(7.8%포인트↑)과 자동차·부품(7.3%포인트↑)이 상위에 올랐다.

21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지난 4월 16일까지 2020년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366개 기업의 부채 및 유동부채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대기업의 부채총액은 1524조5884억원으로 2019년 1446조297억원보다 5.4%(78조5587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자본은 3.3%(46조1692억원) 확대된 1440조7456억원으로, 부채비율은 105.8%를 기록했다. 1년 전 부채비율이 103.7%였던 점에 비춰 2.1%포인트 높아졌다. 2019년 769조5757억원이던 차입금 총액이 지난해 810조8436억원으로 5.4%(41조2679억원) 늘며 부채 확대를 주도했다.

특히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부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대기업의 지난해 유동부채는 전년 731조3310억원보다 6.6%(48조4368억원) 증가한 779조7679억원으로, 전체 부채의 절반을 넘어 비중이 51.1%에 달했다. 상환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유동부채는 1년 새 4.2%(30조1219억원) 늘어난 744조8203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유동부채비율은 2019년 52.4%에서 지난해 54.1%로 1.7%포인트 높아지며 단기부채 상환 부담이 확대됐다. 유통(8.9%포인트↑)과 제약(7.8%포인트↑), 자동차·부품(7.3%포인트↑), 서비스(3.4%포인트↑), IT전기전자(2.8%포인트↑), 석유화학(2.7%포인트↑), 철강(1.4%포인트↑), 건설 및 건자재(0.2%포인트↑) 등 8개 업종이 유동부채비율 상승을 이끌었다.

유동부채비율 규모로는 조선·기계·설비(135.1%)와 운송(117%), 상사(103.9%) 등 세 업종이 ‘톱3’를 차지했고 건설 및 건자재(80.9%), 유통(74.6%), 자동차·부품(70.1%), 에너지(65.9%), 석유화학(62.3%), 생활용품(61.9%), 식음료(52.6%) 등 10개 업종이 50% 이상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생활용품(93.2%)과 식음료(93.4%) 2개 업종을 제외하고는 부채비율도 모두 100% 이상을 기록했다.

반면 지주(28.4%), IT전기전자(33.3%), 공기업(34.9%), 철강(38%), 통신(45.6%), 제약(46.6%), 서비스(47.1%) 등 7개 업종의 유동부채비율은 50% 미만으로 집계됐다. 이들 업종 가운데 부채비율이 100% 이상인 통신(109.9%)과 공기업(178.9%) 두 업종을 제외하고는 단기 상환 부담은 물론 전체 재무부담이 비교적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별로는 쿠팡, 쌍용자동차, 쥴릭파마코리아 등 세 곳이 자본잠식이었다. 이어 삼성전자서비스(2846.7%), 뉴옵틱스(1080.6%), 덕양산업(730.6%), 에스피씨지에프에스(693.4%) 에이치엘그린파워(664.1%), STX(560.7%), 이마트24(526.8%), 비엠더블유코리아(511.7%) 등 기업의 유동부채비율이 50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유동부채 규모로는 삼성전자가 75조6044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현대자동차(59조4595억원), 한국전력공사(25조8812억원), 기아(21조976억원), LG전자(20조2075억원), 포스코(16조8550억원), 두산(15조8082억원), 한화(15조6521억원), 두산중공업(13조705억원), LG화학(12조6242억원), LG디스플레이(11조69억원), 삼성물산(10조8896억원), 현대모비스(10조822억원)가 10조원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