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 순이익 감소에도 급여는 2년새 22% 늘었다
평균급여비중 영업수익의 28.4%…우리PE(105.5%)·라임(68.6%) 順
- 작성일2019-11-03
상위 50개 자산운용사들이 최근 2년 간 당기순이익이 마이너스 성장을 한 가운데 영업수익에서 임직원들의 급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28.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에 운용사들의 영업수익은 평균 19.2% 증가하고 임직원 급여도 22.3% 늘었다.
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2019년 06월 자산규모 기준 상위 50개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 규모와 실적대비 급여 비중 등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기준 자산운용 규모는 1046조7503억3500만 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6년 말(885조5732억4800만 원)보다 18.2% 늘어난 규모다. AUM 집계는 일반적으로 집합투자액과 투자일임액을 포함한 것으로 회사가 직접 운용하는 자산을 기준으로 삼는다.
운용자산 규모가 늘어난 만큼 이들 운용사의 영업수익과 임직원들의 급여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50개 운용사의 영업수익은 2년 전보다 3286억8769만 원(19.2%) 늘어난 2조392억8308만 원이다. 같은 기간 급여는 1055억5434만 원(22.3%) 증가한 5782억695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에 50개 운용사의 영업이익은 6817억7486만 원에서 7160억9355만 원으로 5.0%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은 5775억2291만 원에서 5360억333만 원으로 7.2% 감소했다. 반면 임직원들의 총 급여는 4727억1516만 원에서 5782억6950만 원으로 증가율이 22.3%에 달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영업수익에서 급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28.4%를 기록했다.
영업수익 대비 급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우리프라이빗에퀴티자산운용(우리PE)으로, 영업수익(17억1345만 원) 대비 급여(18억785만 원) 비중이 105.5%를 기록했다. 이는 2년 전과 비교할 때 영업수익은 66.1% 감소한 데 비해 급여는 1.3% 줄어든 수준이다.
이어 라임자산운용의 영업수익(462억3213만 원) 대비 급여(317억3549만 원) 비중이 68.6%로 두 번째로 높았다. 같은 기간 이 회사의 영업수익은 4859.3% 늘었고 급여도 7151.7% 급증했다.
다음으로는 △에이비엘글로벌자산운용(49.0%) △메르츠자산운용(48.5%) △멀티에셋자산운용(47.7%) △트러스톤자산운용(47.4%) △에셋플러스자산운용(47.1%) △유진자산운용(47.0%) 순으로 수익 대비 급여의 비중이 업계 평균보다 높았다.
50개 운용사 가운데 전체 AUM의 52.4%(548조7411억1600만 원)를 차지하는 상위사 5개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23.3%), 삼성자산운용(21.0%), KB자산운용(24.7%) 등은 지난해 실적 대비 입금 비중이 업계 평균치보다 낮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2745억2497만 원이며 급여는 640억8411만 원으로 2년 전보다 영업수익은 10.3%, 급여는 11.1% 증가했다. 삼성자산운용의 영업수익은 1857억245만 원이며 급여는 390억4877만 원이다. 같은 기간 영업수익과 급여는 각각 4.0%, 2.8% 늘었다. KB자산운용의 경우 2년 전보다 영업수익은 2.8% 줄었으나 급여는 13.8% 증가했다.
반면 한화자산운용(32.3%)과 신한비엔피파리바자산운용(29.2%)의 실적 대비 급여의 비중은 평균치를 웃돌았다. 지난해 1004억3096만 원의 영업수익을 올린 한화자산운용은 324억1243만 원을 급여로 지출했다. 이는 2년 전보다 영업수익은 32.3% 증가하고 급여도 55.1% 늘어난 것이다. 신한비엔피파리바자산운용의 경우 같은 기간 영업수익과 급여는 각각 12.5%, 7.2%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