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시행 후 기업 접대비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
보도자료 기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50여개의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국내외 언론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김영란법’ 시행 후 기업 접대비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
2017년 상반기 14%로 대폭 줄었으나 올 상반기엔 4.9%로 감소세 둔화
현대삼호중·대웅제약 등 5곳 3년 새 70% 이상 감소...한화건설 등은 증가
CEO스코어, 500대 기업 116곳 2016년~2019년 상반기 접대비 현황 조사
현대삼호중·대웅제약 등 5곳 3년 새 70% 이상 감소...한화건설 등은 증가
CEO스코어, 500대 기업 116곳 2016년~2019년 상반기 접대비 현황 조사
- 작성일2019-09-29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이 시행된 후 줄었던 접대비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500대 기업의 접대비는 '김영란법' 시행 전 대비 4.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 시행 다음해인 2017년 상반기 시행 직전 해 같인 기간에 비해 13.6% 줄었던 것에 비해 회복한 것이다.
현대삼호중공업이 이 기간 접대비가 93.7%나 축소됐고 대웅제약(-79.6%), LIG넥스원(-76.2%), 한신공영·한국항공우주(각 -73.8%)도 70% 이상 줄었다.
29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접대비 내역을 공개한 116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 상반기 접대비 규모는 총 1495억 원으로 김영란법 시행 이전인 2016년 상반기 대비 4.9%(78억 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김영란법 시행 직후인 2017년 상반기의 경우 13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6%(214억 원)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축소했다. 2017년 줄었던 접대비는 2018년과 2019년 연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기업마다 법리적 해석을 마치면서 접대가 경색됐던 분위기에서 다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올 상반기 매출액에서 접대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0.055%로 2016년 상반기 0.065% 대비 0.011%포인트 하락했지만, 2017년 상반기(0.052%)와 비교하면 0.003%포인트 상승했다.
실제로 2017~18년 상반기 접대비는 1359억 원에서 1388억 원으로 2.2%(29억 원) 늘었고, 올해 상반기는 1495억 원으로 작년과 비교해 7.7%(107억 원) 증가했다.
그래도 법 시행 직전인 2016년 상반기에 비해 접대비가 줄어든 곳은 66곳으로 절반이 넘는 56.9%에 달했다. 현대삼호중공업이 93.7%(35억 원)를 줄여 감소 폭이 가장 컸고 대웅제약(-79.6%, -6억1400만 원), LIG넥스원(-76.2%, -6억4100만 원), 한신공영(-73.8%, -5억2500만 원), 한국항공우주(-73.8%, -4억5400만 원) 등이 70% 이상 줄였다.
이어 한양(-67.5%, -4억1000만 원), 롯데쇼핑(-66.7%, -42억 원), 금호산업(-63.1%, 3억6200만 원), 유한양행(-61.1%, -3억6800만 원), 대성산업(-56.4%, -4억5900만 원), 대원강업(-51.5%, -3억5000만 원),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51.0%, -4억1400만 원) 등의 순이었다. 접대비를 줄인 66개 사 중 3년 새 50% 넘게 감소한 곳은 이들 12곳뿐이었다.
반대로 접대비가 늘어난 곳은 한화건설(253.9%, 9억8500만 원)을 비롯해 다우기술(133.2%, 27억 원), 다우데이타(122.7%, 28억 원) 등이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세아베스틸(96.3%, 1억8000만 원), 롯데케미칼(95.0%, 9억8900만 원), NHN(90.7%, 13억1900만 원), 현대홈쇼핑(89.9%, 5억5100만 원), 유안타증권(86.1%, 10억2800만 원), 코스맥스(67.5%, 3억5900만 원), 한화호텔앤드리조트(52.7%, 5억6500만 원), 도이치모터스(51.2%, 1억300만 원), 화승인더스트리(50.4%, 2억300만 원) 등의 순이었다.
올 상반기 접대비를 가장 많이 지출한 곳은 (주)한화로 86억4500만 원이었고 하나은행(85억4900만 원)이 두 번째로 많았다.
다음으로 한국투자증권(60억7200만 원), 다우데이타(50억2000만 원), NH투자증권(48억5600만 원), 다우기술(47억3100만 원), 한화케미칼(45억7200만 원), 메리츠종금증권(39억3900만 원), 코오롱인더스트리(35억4900만 원), 대상(32억9100만 원) 등이 상위 10개 사에 이름을 올렸다.
접대비가 1억 원 미만인 곳은 KTcs(5400만 원), 포스코강판(7200만 원), GS EPS(8700만 원), 신세계인터내셔날(9700만 원) 등 4곳이었다.
한편 접대비 내역은 의무공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상당수 기업은 공시를 하지 않았다. 올 반기보고서 기준 매출 10대 기업 중 접대비를 공시한 곳은 기아차와 (주)한화 뿐이었고, 삼성전자를 비롯한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전자, 한국전력공사, SK하이닉스, GS칼텍스, 현대모비스 등 8곳은 공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