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집단 기업 상표권 사용료 1년새 2000억원 증가
보도자료 기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50여개의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국내외 언론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집단 기업 상표권 사용료 1년새 2000억원 증가
CEO스코어, 지난해 36개 그룹 57개 기업 대상 조사...전년비 18.7% 증가
금액은 LG그룹이 2684억원으로 최다...증가율은 롯데그룹이 3.3배 급증
금액은 LG그룹이 2684억원으로 최다...증가율은 롯데그룹이 3.3배 급증
- 작성일2019-06-26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주회사의 상표권 사용 거래를 집중 점검 분야로 지정한 가운데 지난해 대기업집단의 상표권 수취액은 전년 대비 18.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표권 사용료 수취 총액은 LG가 총 2700억 원에 육박하며 1위를 기록했고, SK와 한화, 롯데도 1000억 원이 넘었다.
상표권 사용료 수취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2017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792억 원이 늘어난 롯데그룹이었고 SK와 한화, GS 등도 전년 대비 100억 원 이상 늘어났다.
2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36개 대기업집단의 지난해 상표권 사용료 수취액을 조사한 결과 총 1조3154억 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집단에 신규 지정돼 전년 비교를 할 수 없는 다우키움과 애경은 집계에서 제외했다.(두 그룹을 포함할 경우 1조3204억 원)
대기업집단 가운데 지주사 등이 계열사로부터 상표권 사용료를 지급받는 곳은 36개 그룹의 57개 기업이며, 전년 55개 기업에서 2곳이 증가했다. 수취액 역시 2017년 1조1080억 원 대비 18.7%(2073억 원) 증가했다.
상표권 사용료는 지주회사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로, 수수료 적정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 제기돼왔다. 공정위 역시 지주사가 상표권 사용료라는 일률적 가치 평가가 어려운 항목으로 수익을 올리는 부분을 지적했다.
대기업집단 중 수취액이 가장 많은 그룹은 LG로 2684억 원에 달했다. SK(2345억 원), 한화(1530억 원), 롯데(1033억 원) 등이 1000억 원을 넘었다.
1년 새 수취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롯데로 2017년 240억 원에서 지난해 1033억 원으로 792억 원(329.6%)이나 증가했다. 2017년 10월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상표권 사용료 수취액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SK(490억 원)와 한화(155억 원), GS(132억 원)도 100억 원 이상 증가했다.
2개 계열사 이상이 상표권 사용료를 받는 그룹은 8곳으로 삼성이 12개로 가장 많았고 현대차·두산 각 3곳, SK·KT·세아·중흥건설·유진 각 2곳이었다.
지주사 중 상표권 사용료 수취액이 1000억 원 이상인 곳은 ㈜LG(2684억 원)와 SK㈜(2339억 원), ㈜한화(1530억 원), 롯데지주㈜(1033억 원) 등 4곳이었다. CJ㈜(979억 원), ㈜GS(919억 원)도 1000억 원에 육박했다.
이밖에 한국테크놀로지그룹㈜(492억 원), ㈜두산(328억 원), ㈜한진칼(299억 원), 코오롱(263억 원) 등이 상표권 사용료 수익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지주회사 체제가 갖춰지지 않은 삼성은 12개 사가 64개 계열사로부터 상표권 사용료를 받았다. 삼성물산이 60억 원, 삼성전자 23억 원, 삼성생명 8억 원, 삼성화재 6억 원, 삼성증권 5억 원, 삼성디스플레이 2억 원 등이며, 이외 삼성중공업,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카드 등 6곳이 1억 원 미만을 수취했다.
매출액 대비 수취액 비중으로는 한국테크놀로지그룹㈜이 65.7%로 가장 높았고 CJ㈜ 57.6%, ㈜한진칼 48.3%, 코오롱 45.2%, 롯데지주㈜ 39.3%, ㈜LG 35.5%, ㈜GS 18.2%, HDC㈜ 15.3%, 하이트진로홀딩스㈜ 12.9%, ㈜NXC 12.6%, ㈜세아제강지주 12.4%, ㈜동원엔터프라이즈 11.1%, ㈜LS 10.2% 등이 두 자릿수 비중을 기록했다.
한편 지주사에 상표권 사용료를 가장 많이 낸 그룹 계열사는 LG전자(1031억 원)로 유일하게 1000억 원 이상 지급했다. 이어 SK하이닉스(604억 원), 한화생명(544억 원), LG화학(522억 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492억 원)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