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오늘 본 상품

Go Top

기업데이터연구소
"데이터를 통해 미래 트렌드를 읽는다" Biz Data, New Value & Lead Future

30대 그룹 접대비, 김영란법 시행 후 28% 감소
보도자료 기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50여개의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국내외 언론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30대 그룹 접대비, 김영란법 시행 후 28% 감소
금호아시아나 65% 격감…롯데·GS·미래에셋도 50% 이상 감소
  • 작성일2017-05-04

국내 30대 그룹의 접대비가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약칭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평균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무려 65%나 감축했고 롯데·GS·미래에셋 그룹도 절반 이상씩 줄였다.

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30대 그룹 계열사 중 지난해 접대비 내역을 공시한 111개사를 대상으로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인 작년 4분기 접대비를 조사한 결과 212억8600만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8.1%(83억3900만 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30대 그룹 매출은 2.3% 늘고 영업이익은 48,0%나 급증했는데도 접대비 지출은 30%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부영그룹과 접대비 내역을 공시하지 않은 대우조선해양·KT&G·대우건설 그룹은 제외했다.

조사대상 26개 그룹 중 KT와 현대차를 제외한 24개 그룹(92.3%)이 모두 접대비를 줄였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65.4%(2억1400만 원)나 줄여 감소폭이 가장 컸고, 롯데(-59.9%, 10억300만 원), GS(-55.0%, 5억7300만 원), 미래에셋(-50.3%, 9억800만 원) 그룹도 절반 이상씩 줄였다.

이어 삼성(-49.8%, 7억8700만 원), OCI(-49.8%, 3억2400만 원), 에쓰오일(-46.3%, 6억2500만 원), 포스코(-45.0%, 2억5600만 원), 영풍(-41.8%, 2억9700만 원) 그룹이 40% 넘게 줄여 감소폭 상위에 속했다.

반면 KT(5.3%, 1400만 원)와 현대차(2.1%, 5100만 원) 그룹은 소폭 늘렸다.

그룹별 4분기 접대비 총액은 SK그룹이 29억920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자동차(24억9800만 원)→ 현대중공업(19억9900만 원)→ 한화(17억600만 원)→ 하림(14억3500만 원)→ 현대백화점(11억4400만 원)그룹이 10억 원을 넘겼다.

이어 두산(9억8800만 원)→ 한국타이어(9억2800만 원)→ 미래에셋(8억9800만 원)→ CJ(8억1400만 원)→ 삼성(7억9400만 원)그룹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별로는 111개사 중 91개사(82%)가 접대비를 줄였다.

한국복합물류가 100% 삭감한 것을 비롯해 포천파워(-88.6%), 롯데쇼핑(-85.8%), 코리아써키트(-76.3%), NS쇼핑(-75.9%) 등이 70~80%대의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밖에 KT파워텔(-68.8%), 삼광글라스(-68.2%), CJ헬로비전(-67.4%), 롯데케미칼(-66.1%), 금호산업(-65.4%), 포스코에너지(-65.0%), GS홈쇼핑(-64.3%), KTcs(-61.5%)도 60% 이상 줄였다.

반대로 늘린 곳은 시그네틱스(560.0%), 기아차(208.9%), 현대HCN(83.0%), 롯데로지스틱스(37.8%), SK텔레시스(30.3%), 두산인프라코어(10.8%) 등 20개사(18.0%)에 그쳤다.

기업별로는 하이투자증권이 13억1700만 원으로 접대비 지출이 가장 많았다. 이어 SK네트웍스(8억7600만 원), SK증권(8억6500만 원), 한화투자증권(8억1100만 원)이 8억 원대였고, 기아자동차(7억9400만 원), 미래에셋자산운용(7억8000만 원), 한국타이어(7억5200만 원), CJ대한통운(7억3900만 원), 에쓰오일(7억2600만 원), 팜스코(7억1900만 원)도 7억 원 이상을 집행해 ‘톱10’에 포함됐다.

반면 한국복합물류는 집행 금액이 없고 포스코엠텍(200만 원), 신세계톰보이(300만 원), 현대정보기술(300만 원), KT파워텔(500만 원), KT뮤직(500만 원) 등도 1000만 원 미만으로 소액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