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3곳 중 2곳, 대주주 일가 주식 담보 잡혀
두산·동부 등 7곳 50%↑…삼성·현대차 등 11곳 ‘전무’
- 작성일2014-10-15
30대 그룹 3곳 중 2곳은 대주주 일가 주식이 채권금융기관 등에 담보로 잡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주주 일가의 주식담보비율은 10%로,6조 원을 훌쩍 넘었다.
두산,동부,한진 등 7개 그룹은 주식담보비율이 50%를 넘었고 반대로 삼성,현대차,롯데 등 11개 그룹은 주식담보가 전무했다.
15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총수가 있는 30대 그룹 대주주 일가의 상장사 보유주식 담보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전체 주식가치 63조6천300억 원 중 10%인 6조3천500억 원이 금융권 등에 담보 및 질권으로 설정된 것으로 집계됐다.
30대 그룹 대주주 일가 425명이 상장사 116곳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고,108명이 38개 계열사 주식을 담보로 제공했다. 대주주 일가는 4명 중 1명,주식 보유 계열사는 3곳 중 1곳 꼴로 주식담보대출이 이뤄진 셈이다. 부영과 미래에셋은 상장사가 없어 제외했다.
삼성,현대차 등 담보대출 내역이 없는 11곳을 제외한 17개 그룹으로 좁혀보면 대주주 일가의 전체 주식자산은 17조7천700억 원이고 담보비율은 36.7%로 높아진다.
대주주 일가의 상장사 보유 주식은 10월10일 기준이며,주식담보비율은 보유 주식자산 대비 담보 제공된 주식가치로 계산했다.
주식담보대출은 대주주 일가의 재산권만 담보로 설정하고 의결권은 인정되기 때문에 경영권 행사에 지장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추후 돈을 갚고 담보 주식을 돌려받으면 그만이다.
하지만 대주주 일가의 주식담보로 투자 심리 위축이 일어날 수 있고,주가가 담보권 설정 이하로 폭락할 경우 금융권의 반대매매(대여금 회수)에 따른 주가 하락으로 소액 주주 피해가 우려되며 심할 경우에는 최대주주 변경으로 경영권을 상실할 수도 있다.
30대 그룹 중 대주주 일가의 주식담보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두산이었다. 주식자산 9천400억 원 중 8천940억 원어치가 담보로 제공돼 주식담보비율이 95.1%에 달했다.
두산은 박용곤 명예회장을 비롯해 박용성 회장,박용현 두산연강재단 이사장,박용만 회장과 박정원·박진원·박태원·박서원 등 3~4세 경영진 15명이 보유한 두산과 두산건설 주식 대부분이 금융권에 담보로 설정 돼 있었다.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대주주 일가 33명 중 절반에 가까운 수가 빈껍데기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2~3위는 유동성 위기를 겪은 동부와 한진으로,대주주 일가 주식의 90% 이상이 담보로 잡혀 있다.
동부는 김준기 회장과 김정희 여사,자녀인 김남호 동부팜한농 부장,김주원 씨 등 대주주 일가 4명이 동부건설,동부CNI,동부제철,동부증권,동부화재 등 주요 계열사 보유 주식가치 1조960억 원을 담보로 제공했다. 주식담보비율은 90.9%다.
한진은 조양호 회장을 제외한 조원태·조현아·조현민 3세와 최은영 한진해운홀딩스 회장 등이 상장사 지분 1천600억 원 중 1천460억 원어치를 담보로 제공해 90.1%에 달했다.
4위는 이호진 전 회장이 중병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태광으로 88.3%였다. 이 전 회장의 경우 담보 제공된 주식의 3분의 2 이상이 공탁(금전·유가증권·기타 물품을 공탁소에 맡기는 것)이었다.
5위는 형제간 다툼에 따른 경영권 방어 자금이 필요했던 효성으로,조석래 회장을 비롯해 조현준 사장,조현상 부사장 등 대주주 일가의 주식담보비율이 73.1%였다.
이 외 한화와 금호아시아나가 각각 66.8%와 66.6%로,대주주 일가 주식 자산의 절반 이상이 담보로 제공돼 있었다.
이어 CJ(46%)→동국제강(27.4%)→LS(26.9%)→OCI(19%)→GS(18.3%)→LG(12.6%)→SK(12.4%)→한라(11.2%)→현대그룹(10.5%) 순이었다. 코오롱은 1.1%로 주식담보비율이 미미했다.
삼성,현대차를 비롯해 롯데,현대중공업,신세계,대림,현대백화점,영풍,KCC,한국타이어,한진중공업 등 11개 그룹은 대주주 일가의 주식담보대출 내역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