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오늘 본 상품

Go Top

기업데이터연구소
"데이터를 통해 미래 트렌드를 읽는다" Biz Data, New Value & Lead Future

49개 그룹 상반기 계열사 자금차입 2.2조 원, 18%↑…롯데 1위
보도자료 기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50여개의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국내외 언론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49개 그룹 상반기 계열사 자금차입 2.2조 원, 18%↑…롯데 1위
계열 금융사 자금 지원성 동원으로 사금고화 논란 불가피
금융기관 대출, 회사채 발행 등 일반 차입은 10% 감소
  • 작성일2013-11-27

99bafc311a9c309ea1cee641a2a06aed_1637642769_554.jpg

지난 상반기 재벌 그룹 계열사들이 다른 계열사에서 돈을 빌려 운영자금으로 사용하는 계열사간 자금 대여 및 차입이 크게 늘었다.

재벌 그룹 계열사라도 재무구조 상황이나 기업 규모에 따라 은행이나 금융기관 대출이 쉽지 않고,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한 자금 차입도 경색됐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계열사간 차입에 보험 캐피탈 대부업체 등의 계열 금융회사가 동원된 경우도 많아, 민간그룹 계열 금융사의 사금고화 논란도 다시 거세질 전망이다.

27일 기업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가 51개 출자총액제한 기업집단 중 올해 신규 지정으로 공시가 되지 않은 한솔과 아모레퍼시픽을 제외한 49개 기업집단의 올 상반기 계열회사로부터의 자금 차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173건, 2조2천441억 원에 달했다. 작년 같은 기간 181건, 1조8천976억 원 대비, 건수는 4.4% 줄었고, 금액은 18.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총 차입금은 184조8천억 원으로 작년 상반기(205조9천279억 원)보다 10%나 되레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이들 재벌 그룹의 총 차입금 중 계열사 의존도도 작년 0.92%에서 올해는 1.21%로 0.29%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기관들이 재벌 계열사라도 재무구조가 좋지 않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에 대한 대출을 엄격히 관리하고, 회사채 발행시장도 얼어붙으면서 계열사에서 돈을 빌려 버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총 173건의 계열사간 자금 대여 중 36건(20%)은 보험, 캐피탈, 대부업체 등 계열 금융사가 자금을 빌려준 경우여서 사금고화 논란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그룹별로는 롯데 그룹의 계열사 자금 차입이 가장 많아서 무려 10건, 5천628억 원에 달했다.

호텔롯데가 롯데인천개발에 4천600억 원 빌려준 것을 비롯해 금융회사인 롯데캐피탈이 롯데상사와 디시네마오브코리아, 현대정보기술 등에도 돈을 빌려줬다.

이에 따라 롯데그룹의 계열사간 차입 의존도는 13.5%로 작년 같은 기간(6.1%) 보다 무려 2배 이상 급등했다.

2위는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양그룹으로 14건, 4천440억 원에 달했다. 이중 절반이 훨씬 넘는 9건은 금융사인 동양파이낸셜대부 등을 통한 자금 대여였다. 동양파이낸셜대부는 동양레저, 동양인터내셔널, 티와이머니대부, 동양파워 등에 자금을 빌려줬다.

3위는 부영으로 총 12건, 2천988억 원의 계열사간 자금 대여가 이뤄졌다. 동광주택이 부영주택, 부영대부파이낸스, 부영환경산업, 남양개발, 남광건설산업 등에, 부영주택도 부영CC와 부영 등에 돈을 빌려줬다.

홈플러스는 홈플러스테스코에 총 1천110억 원을 빌려줘 단박에 4위를 기록했다.

5위는 946억 원을 기록한 이랜드였다. 이랜드는 이랜드월드와 이랜드리테일, 이랜드건설이 이랜드파크에, 이랜드파크가 이랜드크루즈와 돔아트홀, 투어몰에 돈을 빌려주는 등 복잡한 자금거래가 11건이나 발생했다.

6~10위는 GS, KT, 동부, STX, 포스코가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GS는 주로 코스모 계열사간 자금 거래가 많았다. 코스모화학, 코스모글로벌, 코스모앤컴퍼니, 코스모산업, 마루망코리아 등이 얽히고설킨 자금 거래를 일으켰다. 이외 GS에너지와 GS건설도 각각 3개와 2개 계열사에 자금을 빌려줬다. 총 17건에 848억 원 규모였다.

KT는 11건 832억 원의 자금 대여가 주로 금융사인 KT캐피탈을 통해 이뤄졌다. 이니텍스마트로홀딩스, KT링커스, 스마트로, KT텔레캅, KT오아이씨 등이 KT캐피탈로부터 돈을 빌렸다.

동부는 대여금이 759억으로 8위 규모였지만 건수는 22건으로 가장 많았다. 동부생명과 동부화재가 동부하이텍에 대여한 것을 비롯해 동부건설, 동부팜한농을 중심으로 자금 대여 및 차입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STX그룹도 STX, 포스텍, STX건설 등을 중심으로 710억 원의 계열사 자금 거래가 일어났고,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플랜텍이 성진지오텍에 700억 원을 빌려줘 단일 건으로 10위에 올랐다.

삼성과 현대차그룹도 각각 1건씩 37억 원, 24억 원의 계열사간 자금 차입이 이루어졌다.

삼성은 삼성카드가 병원구매솔루션업체인 케어캠프에, 현대차그룹의 현대건설은 열병합발전소업체인 부산정관에너지에 자금을 빌려줬다.

반면 SK, LG, 현대중공업, 한화, 두산, 신세계, 현대, 금호아시아나, 대림, 에쓰오일, 영풍, 코오롱, 한진중공업, 태광, 교보생명보험, 하이트진로, 태영 등 17개 그룹은 올 상반기 계열사간 자금 대여가 전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