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오늘 본 상품

Go Top

기업데이터연구소
"데이터를 통해 미래 트렌드를 읽는다" Biz Data, New Value & Lead Future

대기업집단 오너일가 임원 승진 소요기간 4.4년…일반직원 대비 18.1년 빨라
보도자료 기업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50여개의 보도자료를 작성하여 국내외 언론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집단 오너일가 임원 승진 소요기간 4.4년…일반직원 대비 18.1년 빨라
30.4세에 입사해 34.8세에 임원 승진…사장단 승진까진 12.9년 걸려
임원 승진 소요기간, 부모세대(4.5년)보다 자녀세대(4.3년)가 더 짧아
오너일가 25.5%는 입사와 동시에 임원…영풍·OCI·신세계·현대해상 순
CEO스코어, 2023년 결산 공시대상기업집단 88곳 오너일가 경영참여 현황 조사
  • 작성일2025-02-26
17cb0ebea9e79613f302ffdfcfc364bc_1740523988_1206.jpg

국내 대기업집단 오너일가는 평균 30.4세에 입사해 34.8세에 임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임원 중 상무(이사 포함) 직급 임원의 평균 나이(2019년 9월말 기준)가 52.9세인 점을 감안하면 오너일가의 임원 승진이 일반 직원에 비해 약 18.1년 더 빠른 셈이다.


오너일가가 임원까지 승진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부모세대보다 자녀세대가 0.2년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입사 나이도 부모세대(30.7세)보다 자녀세대(30.2세)가 더 젊었다. 최근 국내 기업 전반에서 젊은 리더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임원 승진 소요기간이 단축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성별로는 여성의 임원 승진 소요기간이 3.3년으로, 남성 4.6년보다 1.3년 짧았다. 사장단 승진 소요기간도 여성이 11.4년으로, 남성 13.1년보다 1.7년 짧았다.


회사에 입사하자마자 임원이 된 오너일가는 총 54명이었다. 그룹별로 영풍과 OCI가 각각 5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세계와 현대해상이 각각 3명으로 뒤를 이었다. 입사와 동시에 바로 사장단에 오른 오너일가도 김주원 DB그룹 부회장,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이지현 OCI드림 대표 등 7명이나 됐다.


이와 달리 임원 승진까지 가장 오래 걸린 인물은 박장석 SKC 전 상근고문(16년)으로 조사됐다. 사장단 승진에 최장 기간이 소요된 인물은 34.9년이 걸린 신영자 롯데재단 의장이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3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 88곳을 대상으로 오너일가의 경영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오너일가가 임원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집단은 63곳이며 인원은 총 212명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175명, 여성이 37명이다.


조사대상 대기업집단 오너일가 212명은 평균 30.4세에 입사해 4.4년 만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212명 중 사장단 이력이 조사된 167명의 승진 소요기간은 12.9년이다. 특히, 자녀세대가 부모세대보다 더 어린 나이에 입사해서 더 빨리 임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세대는 평균 30.7세에 입사해 4.5년 만에 임원, 13.2년 만에 사장단으로 승진했다. 자녀세대는 이보다 어린 평균 30.2세에 입사해 임원 승진까지 4.3년, 사장단 승진까지 12.5년이 걸렸다.


또 성별 승진 평균 소요기간은 여성이 남성보다 빨랐다. 임원까지 1.3년, 사장단까진 1.7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평균 30.0세에 입사해 임원 승진까지 4.6년, 사장단 승진까지 13.1년이 소요됐다. 여성은 평균 32.6세에 입사해 임원 승진까지 3.3년, 사장단 승진까지 11.4년이 걸렸다.


입사와 동시에 임원으로 승진한 인원은 전체의 25.5%인 54명이었다. 임원 승진까지 5년 미만(0년 포함)이 걸린 인원의 비중도 59.4%(126명)에 달했다. 전체 인원 중 경력입사자는 92명으로 43.4%의 비중을 보였다.


입사와 동시에 임원에 오른 오너일가가 5명 이상인 그룹은 영풍, OCI 등 2곳이 유일했다. 3명인 곳은 신세계와 현대해상 등 2곳이었다. 2명인 곳은 롯데, 두산, KCC, 세아, 유진, 대신증권, 한솔 등 7곳이다. 1명인 곳은 총 24개로 삼성, 현대차, LG, 한화, GS, LS, 미래에셋, 금호아시아나, 효성, 호반건설 등이 있었다.


입사 후 바로 임원에 오른 주요 인물은 △최창영(고려아연 명예회장) △최민석(스틸싸이클 사장) △이건영(유니온 대표이사 회장) △이우선(유니온 대표이사 부사장) △이명희(신세계그룹 총괄회장) △정용진(신세계그룹 회장) △정몽진(KCC 회장) △정재림(KCC 상무) 등이다.


입사 후 바로 임원에 오른 자녀세대 주요 인물로는 △김재열(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정태영(현대카드 부회장) △허세홍(GS칼텍스 사장) △박서원(두산매거진 전 대표) △박세진(금호고속 상무) 등이 있다. 이중 1986년 이후 출생해 연나이로 39세 미만인 자녀세대 주요 인물로는 △데이비드 백(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 부사장) △김민형(호반그룹 상무) △정경선(현대해상 전무) 등이다.


입사와 동시에 바로 사장단에 오른 오너일가의 비중은 전체의 4.2%인 7명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김주원 DB그룹 부회장(2021년 DB하이텍 미주법인 사장 입사)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1996년 교보생명 부회장 입사) △이지현 OCI드림 대표(2023년 OCI드림 사장 입사)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1985년 유진종합개발 사장 입사) △이어룡 대신파이낸셜그룹 회장(2004년 대신증권 회장 입사) △조동혁 한솔케미칼 회장(1996년 한솔흥진 사장 입사) △최윤정 파라다이스그룹 부회장(2014년 파라다이스그룹 사장 입사) 등이다.


17cb0ebea9e79613f302ffdfcfc364bc_1740524032_5681.jpeg
 

입사 후 임원 승진까지 가장 오래 걸린 인물은 SK그룹의 박장석 SKC 전 상근고문이었다. 박 상근고문은 1979년 SK네트웍스 입사 후 16년 만인 1995년 임원으로 승진했다. 이어 E1 구자용 대표이사 회장(15.8년 소요), LS전선 구자엽 회장(14.6년 소요)과 GS건설 허명수 전 부회장(14.3년 소요), GS리테일 허연수 전 부회장(14.0년 소요) 등이 임원 승진까지 오래 걸린 인물로 조사됐다.


또 사장단 승진까지 가장 오래 걸린 인물은 신영자 롯데재단 의장으로 조사됐다. 신 의장은 1973년 롯데호텔 입사 후 34.9년 만인 2008년에 사장단으로 승진했다. 이어 두산 박석원 사장(27.8년 소요), LS전선 구자엽 회장(27.2년), 두산밥캣코리아 박형원 사장(26.8년), DN그룹 김상헌 회장(26.0년) 등이 사장단 승진까지 오래 걸렸다.


이번 조사는 그룹 경영에 참여 중이거나 과거에 참여했었던 창업주(1세 및 1세의 배우자)의 자녀세대(형제자매 포함) 및 그들의 배우자(고인 및 과거 참여 임원 포함)를 포함했다. 승진시기 산정 기준은 인사 승진기사, 포털에 등록된 프로필, 분기보고서 등에 기재된 직위를 기준으로 했다. 승진 연도만 확인된 경우 승진 연도의 3월 기준으로 일괄 처리했다. 승진 시기는 그룹 경영에 참여한 시점부터 잡았으며, 계열분리 이전 시점부터 추정해 반영했다. 단 재단, 관장 등의 이력은 제외했다. 나이만 공개된 인물은 한국식 연나이 기준으로 출생연도를 추정했다. 임원은 ‘이사대우 이상’, 사장단은 ‘사장, 부회장, 회장’을 범위로 정해 조사했다. 창업주를 1세대로 했으며 이후엔 나이에 관계없이 2세, 3세 등으로 구분했다. 또 통계에서 창업주 또는 창업주와 동세대(인수·설립 등 포함)은 제외했다. 그룹경영에 참여한 적이 있으나 이혼, 계열분리 또는 타사를 창업한 인물도 제외했다.